작년 여름 115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와 태풍 힌남노 등으로 인해 침수 피해가 잇따르고
강남역 근처 뿐만 아니라 다수 지역의 침수 등으로 인한 피해가 기억하시나요?
올해도 역시 폭우가 예상된다고 하니 2023 장마기간 언제인지 시작 종료일을 체크하세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날씨를 바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기상청 날씨 알리미 바로가기가 있습니다
2023 장마기간 시작 종료일
기상청에서 그동안 발표를 미뤘던 2023 장마기간 시작일을 오늘(23일) 발표를 했습니다.
작년 연말부터 부족했던 강수량으로 인해 남부지방의 경우에는 급수 2일/단수 5일 등
제한급수를 실시하며 가뭄피해가 심각했었는데 최근 들어 내린 비로 인해 해갈이 된 상태입니다.
6월 중순부터 시작하던 평년보다 다소 늦게 시작된 2023 장마기간은 폭우성 비가 많다고 하니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기상청 실시간 날씨 알리미 받기
장마기간 시작일 확인하기
올해는 25일에서 27일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이 일시에 장마기간이 시작된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25일-27일이 전국이 장맛비가 예상되는데 정체전선이 북상되어 제주도와 남부지방 중심으로
시작되며 정체전선 상 발달한 저기압이 서해상을 통과하며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덥하고 습한 공기가
다량 유입이 되어 다소 많은 비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24일까지는 이동성 고기압 영향으로 전국이 대체로 맑지만 현재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예보 변동성이 크며 수시로 기상청 브리핑을 통해 강수량과 자세한 정보를 안내 한다고 합니다.
27일부터는 정체전선(mT)의 가장자리에 들며 잦은비가 예상되어 심지어 강수 확대 가능성도
높다고 하니 장마철에 대비를 철저히 해야 겠습니다.
장마철 대비 필수품
장마철에는 실외에서는 배수관의 청소를 필수로 해야 합니다.
작년 저희 테라스 배수관 청소를 하지 않았더니 1층으로 약한 부분에서 물이 새서 난감했었는데
비가 올 경우 레인부츠를 꼭 신고 하시기 바랍니다. 뿐만 아니라 제습기, 그리고 제습제까지
미리 필수로 준비하시면 더욱더 좋습니다.
전국 동시 장마 선언 사례 (2023년 예상)
올해의 장마 유형은 기존과 달리 국지성으로 오는 것이 아니라 전국에 동시 장마가
오며 2021년 이후 2년만이며 역대 7번째로 전국 동시 장마가 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기상청에서는 25일 전후로 계속해서 예보를 통해서 장마 관련 내용을 브리핑한다고 합니다.
장마철 대비 요령 및 유의 사항
저지대 및 농경지 침수 피해 대비
계속 하천에 급범람 대비
하수도 우수관 배수구 등 물 역류 디비
작년 8월에 서울 전역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115년 만에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고 침수피해까지
전국이 비 피해 뉴스로 난리가 났던 기억이 있는데요. 무엇보다 강남역 근처에서 침수가
되었던 장면에서 빗물받이를 열어 배수관 쓰레기를 치우며 어느 정도 해소가 되었는데
많은 곳에서 지하주차장과 반지하 그리고 차량들이 침수가 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을 했습니다.
미리 침수피해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을 경우에는 높은 고지대로 이동조치 하시기 바랍니다.
호우 자연재난 행동 요령 4단계
1단계 : 사전준비 행동요령
- 내 지역 재해 위험 요인 및 정보 사전 확인 및 가족 주변 이웃 공유 하기
- 가족과 이웃 대피방법 정하기 : 대피장소와 이동방법 숙지
- 재난발생 대비 : 비상용품 준비 -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등 비상용품 미리 한 곳에 준비
2단계 : 호우특보 예보시 행동요령
- 호우예보지역과 시간을 주변 사람과 공유 : TV, 라디오, 인터넷 등으로 확인 후 함께 공유
- 산간. 계곡, 하천, 방파제 위험지역에 있을 경우 안전한 곳으로 이동
- 차량 or 시설물 보호를 위해 안전한 곳으로 이동 (배수로, 축대, 옹벽 등 미리 점검)
- 외출 자제 및 주변 어르신 안부 챙기기
3단계 : 호우특보 중 행동요령
- 신속히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며 위험지역 접근 자제
- 언론 (TV, 인터넷, 라디오 등)을 통해 정보 확보
- 공사장, 가로등, 신호등, 전신주, 지하 공간 등 위험지역 접근 자
4단계 : 호우 이후 행동요령
- 대피 후 집에 돌아온 다음 안전 여부 확인 및 가족지인 연락 하기
- 파손된 시설물(주택, 상하수도, 축대, 도로 등) 가까운 시. 군. 구청이나 주민센터 신고
- 파손된 사유시설 보수 또는 복구시 사진 촬영
올해는 피해를 입지 말고 무사히 지나가기를 기대해 봅니다.